본문 바로가기
건강

아기도, 성인도 걸릴 수 있는 급성 중이염 자세히 알아보자

by 똑똑헬스 2023. 9. 18.
반응형

안녕하세요 헬스 똑똑입니다.

감기에 걸리고 난 뒤 귀에 통증을 느껴보신 분들 계신가요?

귀가 먹먹해지기도 하고, 소리가 잘 안 들리기도 하고, 귀가 아프고,  고름이 나오기도 하나요?

아니면 아이가 귀가 아프다며 계속 만지거나 특히 더 보채진 않나요?

오늘은 위와 같은 상황에서 의심해 볼 수 있는 급성 중이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급성 중이염이란?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중간 귀)에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 것을 급성 중이염이라고 합니다.

유소아에게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급성 중이염 아기 중이염 성인 중이염

 

 

급성 중이염 원인

 

대부분의 경우 상기도감염(감기)이 원인이며, 목이나 코에서 발생한 염증이 '이관'이라는 귀 안의 공기를 환기해 주는 관을 따라 전염되며 발생합니다.

유소아의 경우 이관을 통해 염증이 잘 전염되는 구조이며 성인보다 감기에 자주 걸리기 때문에 유소아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젖병을 물고 자거나 보육 시설에 다니는 경우,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는 경우,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경우 더 흔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중이염 원인 성인 중이염

 

급성 중이염 증상

귀의 통증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 감기를 앓고 있는 중 귀의 통증이 있다면 급성 중이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의사표현을 못하는 아기의 경우 평소와 다르게 귀를 자주 만지거나, 심하게 보채거나, 음식을 잘 먹지 않거나, 잠을 자지 않으면 중이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중이염이 심할 경우 열이 날 수 있고, 고막이 터지면서 노란색의 고름이나 피고름이 나오기도 합니다.

청력 저하, 두통, 귀 먹먹함, 귀울림 등의 증상도 동반됩니다.

아기 중이염의 경우 7단계로 분류하며, 7단계의 경우 고막 파열까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아기 중이염 유아 중이염 소아 중이염 중이염 증상

급성 중이염 치료

귀 내시경이나 이경을 통해 고막과 주변의 모습을 관찰하여 진단하며 필요시 청력검사를 받기도 합니다

급성 중이염으로 진단되면 필요시 5~10일 정도 진통제와 함께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심한 통증이 지속되는 성인의 경우엔 고막을 절개하여 염증을 배출하기도 합니다.

급성 중이염은 삼출성 중이염으로 연속되기도 하므로, 완전히 치료되기 전까지는 꾸준히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급성 중이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일은 급성 중이염 이후에 발생할 위험이 큰 삼출성 중이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반응형